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키백과의 장단점

by fruitsili 2025. 3. 29.

장단점
위키백과는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고, 수많은 기여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편집 지침과 정책에 따라 합의를 거쳐 쓰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위키백과의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이며 특징입니다.

위키백과에는 다양한 편집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기 상이한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 덕분에 위키백과에서는 다른 출판물들에서 발견되곤 하는 지역적·문화적 편견을 줄이고, 내용이 특정 집단에 편향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 다양한 편집자들이 있기에 다른 백과사전에는 잘 실리지 않는 주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떤 주제가 중요한지를 판단하는 정규 검토 절차가 따로 있지 않기 때문에, 위키백과에는 간과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문서가 여러 사람에 의해 편집되는 동안 편집자의 나이, 성별, 빈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영향을 받게 되며 편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누구나 편집 가능하다는 것은 쉽게 훼손되거나, 삭제되어야 하는 내용이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키백과의 문서 훼손에 대한 정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의적인 문서 훼손 행위로 인해 문서가 어지럽혀졌다가 교정되는 일이 흔히 발생합니다. 일반적인 문헌들과는 달리 위키백과는 그런 과정 속에서 관점의 변화가 조금씩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일반적으로 위키백과 문서들은 편집을 거치면서 적정 수준으로 개선되지만, 미성숙되거나 감시가 부족한 문서들은 문서 훼손이나 거짓정보 삽입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극단적인 개방성은 어떤 문서든지 저급하거나 논쟁거리가 될만한 편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반면 위키백과는 이러한 개방성으로 인해 특정 사실에 대한 오류나 잘못된 표현을 빠르게 바로 잡을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위키백과 문서는 찬성과 반대 입장들을 아우르는 투명하고 개방된 합의에 따라 쓰입니다. 검열을 하거나 어떤 공식 입장에 따르도록 하는 일은 위키백과 내에서 달성하기 어려우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실패하게 될 것입니다. 여러 사람의 편집을 거치고 나면 대부분의 문서들은 모든 주요 관점들이 공정하게 기술되는 중립적 관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중립적 위치를 찾아가는 동안 문서는 유동적으로 변합니다. 이렇게 합의에 도달하는 과정은 어쩌면 길고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 토론하여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주어지지만, 저급하거나 편향된 내용이 삭제되기까지 수개월 동안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의 많은 부분은 아마추어들이 작성합니다. 전문가의 기여분이라고 해서 특별히 더 비중 있게 다루지 않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마추어들의 기여분보다 전문가의 기여분이 오히려 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위키백과는 과학, 의학, 공학 학술 논문처럼 학계의 검토를 거치는 대상이 아닙니다. 아마추어들이 위키백과를 작성함으로써 얻는 이점 중 하나는, 많은 수의 아마추어들이 그들이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기여함으로써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중의 흥미를 끄는 주제일수록 비전문가의 참여가 많아집니다.